
헬스케어에서 차세대 음식은 왁친백신 수출물량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어요.
백신 물량이 늘어날 수도 있고 8월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을 대량 생산하겠다고 발표한 적도 있고 모멘텀이 그대로 살아있으니 백신 관련 업체를 한번 잘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백신의 종류는 모다와 백신일 것이고, 뉴스에서는 주로 gc 녹십자와 에스테틱 팜이 유력 회사로 알려져 있습니다.gc녹십자는 un 등에도 백신을 공급한 적이 있으며, 에스티팜은 mrna 합성기술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기업이 아직 mrna를 자체 생산하기에는 역량이 부족하다고 보고 있으나 모다나에는 생산시설이 없어 자회사를 설립하고 기술이전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최근에는 홈페이지에 한국법인을 설립하고 총괄 매니저인 gm과 약물 감시 책임자 pv 채용 공고를 냈습니다. 모다나는 자회사가 있는 해당국가의 로컬기업과 위탁생산 계약을 했기 때문에 조만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과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기대감에 따라 주가의 큰 변동이 생길 겁니다. ^^
모다나 관련주를 한번 살펴봅시다.
sk 바이오사이언스 sk 바이오사이언스 주가

현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노바백스 백신을 생산하고 있는 각각 2000만명분을 생산중이어서 현재 생산능력 포화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별 생산능력 등을 알아보고 모다나를 생산할만한 캐퍼의 여유가 있는 회사를 알아보려고 했지만 캐퍼의 단위가 회사마다 달라서 직접 비교는 어렵고 가동률 등으로 파악해야 할 것 같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오로지 백신관련회사입니다. (참고로 sk바이오팜은 제약회사이지만 중추신경계 분야의 신약을 개발하여 fda승인을 받은 솔리안 페트르세노바메이트 등을 수출하고 있습니다. 이 두 회사의 차이점을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저도 몰라서 이번에 찾아봤어요. ㅋㅋ



“가동률은 83% 정도, 과연 모다나 백신의 위탁생산이 가능할까요” 포화상태여서 새로운 수주는 어렵다는 게 중론인 듯합니다.

매출 대부분은 백신제…
바이넥스 바이넥스 주가

러시아 스푸트니크 v왁틴 위탁생산기업 사업영역: 케미칼 의약품 제조 및 판매사업부문 cdmo
매출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 비율은 36% 정도

생산능력 어떤 내용일지 모르겠지만 패스 ㅎㅎ 수출내수

내수쪽에서 발생하는 매출이 크고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미흡.. 수출의 대부분이 바이오 위탁생산쪽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에 백신 수출이 수출 영역에서는 제일 큰 것 같고.. 어쨌든 백신을 수출은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가동률 백신 측의 가동률은 아마 사업 보고서에 나와 있지 않은 것이군요. 안 나오는 경우는 사소한 때지만…
이스아부지스·이스아부지스 주가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vcmo (위탁생산)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치성 질환 및 항암면역 분야에 대한 신약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함항체치료제 개발기술을 기반으로 질환 특이적 조직 특이적 신규타겟 발굴기술, 타겟 특이적 선도항체 선별기술, 선도항체 차별적 효능 최적화기술을 보유한 항체치료제 의약품 개발을 위한 단클론 항체치료제 특성 분석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매출


아부사틴 : 고셔병의 장기 효능 대체요법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파바갈 : 유전성 희귀질환인 파브리병의 장기간 효소 대체요법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으로 글로벌 3상 준비중.크로치냅: 관상동맥 확장술 후 혈관재협착에 의한 심혈관 질환의 재발 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혈전 형성을 억제하는 사업보고서를 보면 백신 생산에 최적화된 기업은 아닌 것 같은데 러시아의 스푸트니크v를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에스티팜·에스팜 주가

예전에 포스팅한 적이 있어요 참고해주세요 ^^코로나 백신 관련주 중에서 cmo 관련주의 에스티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잠정실적 발표하면서 전년… blog.naver.com 저분자신약 cdmo 영역에서 올리고 핵산 치료제 cdmo 방향으로 사업영역 확장
최근 스위스 제네번트 사이언스와 mRNA 백신 개발 및 상업화에 필수적인 LNP 약물전달체 기술 도입에 관한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생산 능력

가동률

가동률이 높지는 않아서 가동여력이 많은 편이네요
수출 내수

수출이 더 큰 기업이네요
녹십자 녹십자 주가

신규사업에 백신제제의 내용이 있다.전염병 혁신엽합과 5억 도스 사전 계약한 … 백신 충전포장 공정을 중심으로 한 국내에서 모다나 코로나19 백신의 허가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상황. mrna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술이전을 받아야 할 것 같다.. 유통허가를 맡고 있는 상황이라 조금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매출 비중 백신 측에서 약 17% 정도를 차지합니다.
생산 능력


화순공장에서 백신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미 가동률은 92%나 됩니다. 이러면 녹십자도 탈락이야? 아니면 다른 공장에서 생산이 가능해? 주담이한테 이건 물어봐야겠네요 생산 여력이 있는지…
프레스티지 바이오로직스


주로 cmo, cdo를 하고 있습니다cmo는 위탁생산서비스, cdo는 위탁개발서비스, 지금은 주로 바이오시밀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허셉틴,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바이오시밀러를 하고 있는데 mrna를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프레스티지 바이오파마 프레스티지 바이오파마 주가

항체의약품 개발전문 제약바이오기업으로 개발을 주로 햄싱가포르가 본사이다.연구개발을 프레스티지 바이오 파마가 하고 생산은 프레스티지 바이오로직스가 할 것 같다.
한미약품, 한미약품 주가

평택 바이오플랜트에서 기술이전을 전제로 mRNA 백신역 10억 도스 생산가능 현재 확인된 위탁생산 계획없음
그냥 나온 대로라면 녹십자sk 바이오사이언스는 캐퍼가 안 될 것 같고 에스티팜이랑 한미약품이 유리해 보이는데.. 녹십자가 유통허가까지 받아서 캐퍼가 되는지 물어봐야겠어요
모다나 관련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