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님 호칭은 뭐라고 불러야 되지?

그냥 가족과 함께 생활을 하다 보면 가족을 부르는 호칭은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어머니랑 아버지, 오빠, 오빠, 오빠, 언니 이렇게 명확하게 붙여진 호칭이 있어요.
헷갈리지 않기 때문에 어렵게 사용할 수는 있지만 결혼을 하는 순간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쓸모없던 호칭이 생겨나서 어떻게 불러야 할지 몰라서 실수를 하는 경우도 있어요.
오늘은 부인의 호칭에 대해 가르쳐 드릴 테니 틀리지 않도록 해 보십시오.

남편의 입장에서 아내의 언니를 부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남편과 아내의 기준으로 호칭을 해봅니다.
먼저 남편을 기준으로 봤을때 형의 아내, 어렵지 않게 알겠지만 ‘형수님’ 이라고 부릅니다.
언니의 남편이라면 매형이라고 부르고, 동생의 아내는 제수, 여동생의 남편은 매제라고 합니다.
남편이 사랑하는 시누이의 호칭은 시누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부인의 형이라면 형, 부인의 남동생은 처남, 부인의 여동생은 처제라고 불러 주세요.

아내의 입장에서 처남 호칭을 어떻게 부르는지 봤는데 이번에는 처의 입장에서 한번 봐야겠죠?
남편 오빠를 부를 때는 시아바니라고 부르고 시아바니 부인은 오빠라고 부르면 돼요
시누이는 시누이, 남편은 아주머니라고 부르고 시동생은 도련님이라고 부릅니다.
젊은 순간의 부인은 동서라고 부르고, 남편의 여동생이라면 시누이지만, 주로 딸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남편의 여동생 즉, 딸의 남편은 남편의 남편이지만 남편의 이름은 ‘도련님’이라고 부르는 것이 보통 ‘도련님’이라고 부릅니다.

처가와 시댁, 이 세상에 각각 남편과 아내의 입장에서 어떤 호칭을 취해야 할지 알아보았습니다.
처가나 시댁의 호칭에 대해서도 간단히 볼 수 있으므로 참고해 둘 것입니다.
남편이 부인의 부모님을 부를 때는 시아버지, 시어머니, 아버지, 어머니 이렇게 불러드리면 됩니다.
부인이 시부모님을 부를 때는 시아버지, 시어머니, 아버지, 어머니 이렇게 부르면 돼요
굳이 시아버지, 장인, 장인이라고 부르는 것보다 친밀감을 가지고 편하게 아버지, 어머니로 통일하면 좋겠죠?

많은 사람들이 알고는 있지만 결혼 안 하신 미혼분들 입장에서는 좀 헷갈릴 수 있어요.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호칭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에 대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잘못 부르면 기분 나쁠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자주 만나야 하는 사이이기 때문에 어떻게 부를지에 대해서
잘 알아둬서 잘 부를 수 있게 하는 게 제일 좋은 방법인 것 같은데
그래서 앞으로 틀리지 않게 창법에 대해서 잘 기억을 해두시길 바라겠습니다.
